8.3 Concentration inequalities

SG 는 꽤 빡빡한 strict 개념. mgf 여부에 기반한 sub-Exponential 은 좀 느슨함.







8.3.1 Sub-exponential random variables

Definition 8.3 (sub-Exponential rv) \(E(X) = \mu\), 패러미터 \(\exists (\nu, \alpha) \ge 0\) 에 대해 이하가 성립하면 랜덤변수 \(X\)sub-exponential.

\[ \forall |\lambda| < \frac{1}{\alpha}: \mathbb{E}[e^{\lambda(X-\mu)}]\leq e^{\frac{\nu^{2}\lambda^{2}}{2}} \] SG 또한 \(1/0 = +\infty\) 로 해석할 경우 \(\nu = \sigma\), \(\alpha=0\) 인 sub-exponential.







8.3.2 Bernstein’s condition

\(X\)의 polynomial moment를 조작하는 것으로 \(X\)의 sub-exponential 성질을 증명할 수 있다.

Definition 8.4 (Bernstein’s Condition) let \(E(X) = \mu\), \(Var(X) = \sigma^2 = E(X^2) - \mu^2\) 인 랜덤변수 \(X\). 이하의 경우와 패러미터 \(b\) 에 대해 Bernstein’s Condition 이 성립한다.

$$ \[\begin{align} &\Bigg | E \Big [ (X-\mu)^k \Big ] \Bigg | \le \frac{1}{2} k! \sigma^2 b^{k-2}, && k = 2, 3, 4, \cdots \end{align}\] $$

이때, 모든 bounded 랜덤변수 (즉 \(|X-\mu| \le b\)) 에 대해 Bernstein’s Condition 이 성립한다는 것을 파악해라.



\(X\)가 Bernstein’s condition 을 만족할 경우, X는 패러미터 \((\sqrt 2 \sigma, 2b)\) 인 sub-exponential.

Theorem 8.4 (Bernstein-type inequality) Bernstein’s Condition 을 만족하는 모든 랜덤변수에 대해 이하가 성립한다.



$$ \[\begin{align} &\forall |\lambda|< \tfrac{1}{b}: &&E \Big [ e^{\lambda(X-\mu)}\Big ] &&\le \exp \left( \frac{\frac{\lambda^2 \sigma^2}{2}}{1-b|\lambda|}\right) \\ &\forall t \ge 0: &&P \Big( |X-\mu| \ge t \Big) &&\le 2 \exp \left( - \frac{t^2}{2(\sigma^2 + bt)}\right) \end{align}\]

$$







8.3.3 McDiarmid’s inequality

Theorem 8.5 (McDiarmid’s inequality)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고 하자.

  1. 랜덤변수 \(X_1 , \cdots, X_n\) 이 independent
  2. 함수 \(f: \mathbb R^n \mapsto \mathbb R\): \(\Big | f(x_1, \cdots, x_n) - f(x_1 , \cdots, x_{k-1} , x_k ' , x_{k+1} , \cdots, x_n) \Big | \le L_k\) (bounded condition)

위 둘이 성립하면 이하가 성립한다.

\[ \forall t \ge 0: P \left( \Big | f(X_1 , \cdots, X_n) - E \big[ f(X_1 , \cdots, X_n) \big]\Big | \ge t \right) \le 2 \exp \left( - \frac{2 t^2}{\sum_{k=1}^n L_k^2}\right) \]







8.3.4 Levy’s inequality

충분히 smooth 한 Gaussian 랜덤변수에 대해, 유사한 concentration inequality 가 존재한다. 이때는 다른 가정이 필요. \(X_1 , \cdots, X_n \overset{iid}{\sim} N(0,1)\) 에 대해

$$ \[\begin{align} &\forall x_{1},\cdot\cdot\cdot,x_{n},y_{1},\cdot\cdot\cdot,y_{n}\in\mathbb{R} &&: &&\Bigg |f(x_{1},\ldots,x_{n})-f(y_{1},\ldots,y_{n}) \Bigg | &&\leq L{\sqrt{\sum_{i=1}^{n}(x_{i}-y_{i})^{2}}} \\ \\ \Longrightarrow &\forall t \ge 0 &&: &&\mathbb{P} \left( \Bigg| f(X_{1},\cdot\cdot\cdot,X_{n})-\mathbb{E} \Big [f(X_{1},\cdot\cdot\cdot,X_{n}) \Big] \Bigg |\geq t \right ) &&\leq2\exp\left(-{\frac{t^{2}}{2L^{2}}}\right) \end{align}\] $$







8.3.5 Quadratic form

\(Q\) 가 symmetric Matrix 일 때 이하를 정의할 수 있다.

\[ \begin{align} \|Q\|_{\mathrm{{op}}}&=\operatorname*{sup}_{\|u\|_{2}=1}\|Q u\|_{2} \tag{l2-operator norm} \\ \|Q\|_{\mathrm{{F}}}&={\sqrt{\sum_{i=1}^{n}\sum_{j=1}^{n}Q_{i j}^{2}}} \tag{Frobenius norm} \end{align} \]

이하는 관련한 thm.

Theorem 8.6 (Hanson–Wright inequality) independent, zero-mean, \(X \in SG(\sigma^2)\) 인 랜덤벡터 \(X = (X_1 , \cdots, X_n)' \in \mathbb R^n\) 를 정의하자. 그러면 Hanson–Wright inequality 에 의해 이하와 같이 quadratic form \(X'QX\) 의 tail bound 가 정의된다.

\[ \forall t \ge 0: \mathbb{P}\left( \Bigg|X^{\top}Q X-\mathbb{E}\Big [X^{\top}Q X \Big] \Bigg|\geq t\right)\leq2\exp\left(-\operatorname*{min}\left\{{\frac{c_{1}t^{2}}{\|Q\|_{\mathrm{F}}}},{\frac{c_{2}t}{\|Q\|_{\mathrm{op}}}}\right\}\right) \]

이때 \(c_1 , c_2\)는 SG 패러미터 \(\sigma\) 에 의존하는 some constant. 증명 개어려움. decoupling 테크닉을 다수 쓰는데 궁금하면 Vershynin 책 찾아보던가.







8.3.6 The Johnson–Lindenstrauss Lemma

Example 3.5 에서 확인한 \(\chi^2\) 의 tail bound 의 응용으로서 유명한 것 중 하나는 “random projection”. \(d\) 가 충분히 큰 데이터셋 \(X_1 , \cdots, X_n \in \mathbb R^d\) 을 가지고 있다고 치자. 이러한 데이터셋을 보관하는 것은 과한 비용을 요구하므로,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이때 우리는 \(m \ll d\) 인 map \(F: \mathbb R^d \mapsto \mathbb R^m\) 을 만든 것이 목적인 “sketching”, 혹은 “random projection” 을 사용한다. 이를 적용한 이후에 우리는 앞서 말한 대용량 데이터셋을 저장하는 대신 \(\Big \{ F(X_1) , \cdots, F(X_n) \Big \}\) 를 보관하게 된다. 여기서 관건은 오리지널 데이터셋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map \(F\) 를 만들어내는 것이다. 특히, 우리는 모든 pair \((X_i , X_j)\) 에 대해 이하가 성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, i.e., map 은 모든 pair-wise distance 를 \((1 \pm \epsilon)\) factor 에 bound 되게 보존한다.

\[ (1-\epsilon)\Vert X_{i}-X_{j}\Vert_{2}^{2}\le\Vert F(X_{i})-F(X_{j})\Vert_{2}^{2}\le(1+\epsilon)\Vert X_{i}-X_{j}\Vert_{2}^{2} \]

이때 Johnson-Lindenstrauss lemma 은 실로 놀라운 결과를 보여준다. \(m \ge \frac{16 \log \left(\frac{n}{\delta}\right)}{\epsilon^2}\) 라는 조건이 주어져 있다면, simple randomized construction 만으로 그러한 map 을 with probability \(\max(c, 1-\delta)\) 로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.

이 결과는 원본 데이터셋의 dim \(d\) 와는 완전히 독립이며

points 의 숫자 \(n\) 에만 logarithmical 하게 의존한다는 것에 notice. 이 map 은 핵심적으로 모든 pairwise 거리를 보존하면서도 보관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.

map 그 자체의 방법론은 매우 간단하다. matrix \(\mathbf Z \in \mathbb R^{m \times d}\), \(Z_{jk} \overset{iid}{\sim} N(0,1)\) 이 되도록 설계하고, map 이 \(F(X_i) = \frac{\mathbf Z X_i}{\sqrt m}\) 되도록 정의한다.

이제 pair 중에 \((X_j , X_k)\) 하나를 고르고 이하를 생각하자.

\[ \frac {\Bigg\|F\left(X_{j}\right)-F\left(X_{k}\right)\Bigg\|^2_2} {\Bigg\|X_{j}-X_{k}\Bigg \|^2_2 } = \left\| \frac {{\mathbf Z}(X_{j}-X_{k})} {\sqrt{m}\Bigg\|X_{j}-X_{k} \Bigg\|_{2}} \right\|^2_2 ={\frac{1}{m}}\sum_{i=1}^{m} \underbrace{\left \langle \mathbf Z_{i}, \; \; {\frac{X_{j}-X_{k}}{\Bigg\|X_{j}-X_{k}\Bigg\|_{2}}}\right\rangle^{2}}_{T_i} \]

이때 \(\mathbf Z_i\)\(\mathbf Z\) 의 i-th row. 이제, for some fixed numbers \(a_j\) 에 대해, \(\sum\limits_{j=1}^d a_j Z_{ij} \sim N \left(0, \; \sum\limits_{j=1}^d a_j \right)\). 따라서 이에 의해 \(T_i \sim \chi^2\) 이며 각각은 independent. 이제 \(\chi^2\) 의 tail bound 를 적용하는 것으로 우리는 이하를 얻는다.

\[ \mathbb{P}\left(\left|{\frac{\bigg\|F(X_{j})-F(X_{k})\bigg\|_{2}^{2}}{\bigg\|X_{j}-X_{k}\bigg\|_{2}^{2}}}-1\right|\geq\epsilon\right)\leq2\exp \left (\frac{-m\epsilon^{2}}{8} \right) \]

따라서 fixed pair \((X_i , X_j)\) 에 대해, 우리의 map 이 distance 를 보존 (preserve) 하는데에 실패할 확률은 exponentially small, i.e., 최대로 해봐야 \(2 \exp \left (\frac{-m\epsilon^{2}}{8} \right)\). 이제 우리의 map 이 \(n \choose 2\)무엇 하나라도 보전에 실패할 확률은 단순히 union bound 적용해보면 해결됨. 이 계산을 통하면 \(P(\text{Failure}) \le 2 {n \choose 2} \exp \left (\frac{-m\epsilon^{2}}{8} \right)\).

따라서 \(m \ge \frac{16 \log \left(\frac{n}{\delta}\right)}{\epsilon^2}\) 일때 위에서 이야기했던 확률이 최대로 해봐야 \(\delta\) 임을 증명하는 건 쉽다. 여기서 note 해야 할 것은 \(m\) 을 그러한 작은 값으로 이끄는 exponential concentration 이라는 개념이다. (i.e., 이는 그냥 sample size 에 맞춰서 logarithmically 하게 grow 하기만 하면 된다)